밀리터리
-
독도함을 항공모함처럼 쓸 수 있을까?밀리터리 2019. 3. 11. 08:30
2017년 미국은 제너럴 포드급 항공모함을 3척을 건조하기로 하였으며 이에 대한 예산으로 약 48조 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금액을 투입하기로 하였습니다. 제너럴 포드급 항공모함은 하룻동안 200회 이상의 항공 작전 능력을 보여하고 있어 미국 본토와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도 강한 군사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항공모함은 본토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전구역에서도 효과적이고 강력한 군사력을 갖게해주는 핵심 전력입니다. 현재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 중국, 프랑스, 인도, 러시아, 이탈리아, 태국, 영국, 스페인 총 9개국입니다. 물론 이들 가운데에서 항공모함으로서 가치가 거의 없어 논란이 되는 국가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항공모함 보유국이라고 꼽는다면 위 국가들이 거론됩니다. 최근에는 일..
-
한반도를 24시간 감시한다던 피스아이, 잘 하고 있을까?밀리터리 2019. 3. 8. 07:00
피스아이는 보잉이 737-700모델을 바탕으로 제작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입니다. 대한민국에는 2011년 1호기를 시작으로 2012년 말까지 총 4대를 도입했습니다. 피스아이는 하늘, 땅, 바다 모두를 감시할 수 있으며 총 100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감시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4대의 피스아이를 교대로 운용하여 24시간 대한민국 전역을 감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공중조기경보통제기는 공중조기경보기와 공중지휘기 업무를 통합하여 운용하는 항공기로서 하늘위의 전투사령부로 불립니다. 지상의 사령부마 레이더기지가 파괴될 경우 공중조기경보통제기가 그 업무를 대체하여 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피스아이는 360도로 공중뿐만 아니라 지상의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 레이더..
-
새로운 참수리 어떤점이 달라졌을까?밀리터리 2019. 3. 7. 08:00
지난 2016년 7월 부산 한진중공업에서는 기존의 참수리 고속정을 대체할 새로운 고속정인 검독수리급 신형 고속정 진수식이 열렸습니다. 이후 2017년 10월 첫 고속정인 PKMR-211정이 취역하여 배치, 운용되고 있습니다. 구 참수리 고속정은 1978년부터 지금까지 대한민국 해역을 지키고 있는 고속정으로 제1차 연평해전과 2차연평해전에서 핵심 활약을 했던 고속정입니다. 만재톤수가 170톤에 지나지 않아 큰 함정과 비교했을시 별볼일 없어 보일수는 있겠지만 빠른 기동력과 짧은 출항준비 시간, 튼튼한 내구성으로 전시상황 뿐만 아니라 평시상황에서도 호송, 민간선박 구조, 해경 단속 지원 등 많은 임무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참수리 고속정 없이 해군이 운용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
대한민국은 핵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는 기술력이 있을까?밀리터리 2019. 3. 6. 10:30
2017년 한국과 미국은 대한민국의 핵추진 잠수함 보유에 대해 원칙적 합의를 이루어 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얼마안가 그 해 11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보유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확인하면서 대한민국도 핵추진 잠수함 보유국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처럼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핵잠수함 보유국들은 핵보유국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핵잠수함 연료가 우라늄이 이용되기 때문입니다. 세계적으로 핵원료인 우라늄인 핵보유국이 아닌 이상 제작하기도, 수입해오기도 까다로운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나 세계적으로 핵 보유국이 늘어나는 것을 원치 않는 분위기 탓에 새로운 핵추진 잠수함 보유국이 생겨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은 어떨까요? 대한민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능력은 충..
-
서해에 러시아제 함정이 돌아다니는 까닭은?밀리터리 2019. 3. 5. 07:30
서해에서 돌아다니는 많은 함정 중에 눈에 띄는 함정이 있는데요. 바로 무레나급 공기부양정입니다. 무레나급 공기부양정은 러시아에서 생산된 함정으로 불곰사업의 일환으로 도입된 함정입니다. 과거 대한민국은 소련에 차관 30억달러를 무상으로 제공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실제로 14억 7천만 달러를 소련에게 제공하였습니다. 하지만 소련이 붕괴하게 되면서 차관제공 뿐만 아니라 상환 또한 어려워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러시아는 소련을 계승한 국가였기 때문에 소련의 채무를 상환해야 할 의무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14억 이상의 차관을 상환하기에는 당시 러시아의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은 현금 1910만 달러, 알루미늄으로 1270만 달러만 상환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민국은 남은 차관을 ..